본문 바로가기

국내주식

면세점 분석 |면세점 관련주 정리

면세점 썸네일
면세점

면세점은 유통업 투자에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면세점에 대해 한번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면세점은 주류, 담배, 향수, 명품, 화장품 등 품종 다양하고 비싼 물건을 싸게 사야 면세 효과가 크기 때문에 면세점을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출국할 때는 5,000달러 입국할 때는 800달러의 면세효과가 적용됩니다. 

 면세여서 명품, 화장품든 고급 브랜드가 얼마나 많이 유치할 수 있느냐가 면세점의 능력을 좌우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패키지 관광객들을 얼마나 데려올 수 있는지에  면세점의 능력을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은 주요 관광객이 서울 북쪽에 집중되어 있어  북쪽에 많이 면세점이 많이 있습니다. 강남권보다 강북권 면세점이 유리(명동)하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서울시내 면세점 평당 매출 6억, 백화점 평당 2,500만원(24배차이)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면세점은 작은데 면세 효과가 있어서 사람들이 와서 물건을 구입해 가는데 한 사람 한 사람 고객에 대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훨씬 적은 인력으로 더 많이 물건을 팔 수 있습니다. 

면세점 분포현황
면세점 분포현황

판매수수료율 면세점

면세점 50%(직접 물건을 책임지고 구입을한다), 백화점 30%, 홈쇼핑 33%, 오픈마켓 15%, 럭셔리 화장품 원가율 20%의 수수료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면세점 화장품은 30%로 낮지만 판매량이 많고 중곡세관 통과가 쉽고 부피가 작아 따이공(보따리상)이 선호하는 물품이기도 합니다. 

면세점 매출비중

면세점 매출규모
면세점 매출규모
면세점 매출비중
품목별 매출비중

 

면세점 마진률 계산

  • 평당 매출 : 면세점 6억, 백화점 2,500만 원
  • 백화점 : 매출 총 이익률 25% -  판관비 20% = 영업이익률 5%
  • 면세점 : 매출총이익률 40%~50%(화장품) - 인바운드(따이공) 25% -판관비 = 영업이익률 10%
  • 공항면세점 : 임차료가 매출의 40% 차지 ▶ 팔아도 남는 게 없음
  • 인천공항 신라면세점 2019년 매출 8천억, 매출총이익 3,200억, 임차료 3500억
  • 시내면세점(흑자) +공항면세점(적자) = 영업이익률 6%~7%

중국의 따이공
중국의 따이공

면세점 영향요소

  • 중국인 인바운드 수 : 2010년 180만 명 ▶ 2014년 610만 명 ▶ 2016년 800만 명
  • 중국인 1인당 면세한동 : 2010년경 1,000달러 ▶ 현대 1,300달러
  • 한국인 입국면세한도 : 400달러 ▶ 2014년 600달러 ▶2022년 800달러 
  • 면세점 시장규모 : 2010년 4.5조 ▶ 2014년 8.3조 
  • 알선수수료율 : 2014년 15% ▶2016년 35% (면세점 신규사업자 경쟁치열
  • 중국 보복조치 : 사드사태로 인하여 인바운드 관광객 절반 감소 ▶ 롯데, 신라, 신세계 TOP3로 재편되었다.
  • 사드 사태로 인한 롯데 이미지가 얼마나 회복되었는가도 중요하다.  
  • 국적별 면세점 매출비중 : 중국 73%, 한국 21%
  • 중국 세계 1위에 CTG면세점 입찰 참여

면세점 관련주

호텔신라(매출 88% 면세점)

호텔신라 지표
호텔신라 지표

신세계 (매출 44% 면세점)

신세계 지표
신세계 지표

현대백화점(매출 45% 면세점)

현대백화점 지표
현대백화점 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