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파운드리란 무엇이며 시장 특성과 반도체 파운드리 관련기업인 TSMC에 대해서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도체 파운드리란?
반도체 설계 기업으로부터 위탁을 받아 반도체를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파운드리는 다른 회사에서 제공한 디자인을 사용하여 칩을 생산하고 칩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장비, 재료 및 전문 지식을 제공합니다.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은 수년에 걸쳐 성장해 왔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 규모는 2020년에서 2025년까지 연평균 6.4% 성장하여 2025년까지 871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은 전자 장치에 대한 수요 증가, 사물 인터넷(IoT)의 성장, 보다 효율적이고 빠른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요구와 같은 요인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지금 현재 파운드리 시장은 TSMC가 과독점 형태로 삼성전자가 추격 중으로 나머지는 기술격차가 벌이지고 있는 상태입니다.
삼성전자 : 반도체 설계 (팹리스) + 반도체 생산(파운드리) = DIM(종합 반도체시장)
TSMC : 반도체 생산(파운드리)
엔비디아, AMD, 애플, 퀼컴 : 반도체설계 (팹리스)
반도체 산업에서 파운드리의 특성
- 파운드리는 기업이 반도체 산업의 성공에 중요한 칩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 파운드리는 회사가 비용을 절감하고 품질을 개선하며 생산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설계 회사들의 생산부 담을 덜어줍니다.
- 환경오염이 있어 서구권보다 아시아가 발달하였음 (한국, 중국, 일본, 대만)
- 생산인력이 필요하여 생산인력이 많이 있고 인건비가 저렴하고 자본집약적, 자본이 있어서 생산시설을 투하할 수 있는 나라
- 자본집약적, 기술집약적 사업이다
- 칩이 더 세부적일수록 성능은 올라가고 전력소모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 고도화된 기술이 올라가 기술에 대한 투자가 있어야 한다.
- 설계뿐만 아니라 생산에도 같이 투자를 해야 한다.
- 연구비랑 시간이 많이 들어간다.
- 설비를 구축하는데 수십 조원의 돈이 들어감
- 자본적/기술적 조건으로 경제적 해자를 갖춤
파운드리가 이를 달성하는 한 가지 방법은 팹 플로어 프로세스를 재구성하여 처리량을 늘리고 주기 시간을 줄이는 것입니다. 파운드리는 린(lean) 방법론을 넘어 고객과 협력하여 제조 공정의 비효율에 기여하는 복잡성 및 기타 요소와 같은 실제 낭비 원인을 해결합니다. 이를 통해 파운드리는 고객이 더 낮은 비용과 더 짧은 생산 주기로 필요한 품질 표준을 충족하는 칩을 생산하도록 돕습니다. - 파운드리는 메모리 반도체보다는 덜하지만 반도체 사이클 영향을 받는다.
반도체 파운드리의 미래
- 자체 ASIC 설계 회사 증가세 ▶ 특수목적칩 증가, 기존고객의 매출 변동은 적을 것
- 무어의 법칙 지속 가능여부
- 반도체 성능은 18개월마다 2 배식 증가한다는 법칙
- 최근은 전력 소모에 따른 세금 효율성이 더 중요
반도체 파운드리 회사 -TSMC
TSMC는 2021년 기준 시장 점유율이 54%인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대만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Apple, Nvidia, Qualcomm 및 AMD와 같은 가장 큰 기술 회사를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 TSMC의 장점
- 선도 진압자 : 먼저 들어가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여 삼성전자가 불리하다.
- 기술력, 수율
- 이 부분은 삼성전자와 호각지세를 다투고 있음
- 패키징 기술 우수하다 (PCB기판 없이 웨이퍼 내에서 패키징, 비용 및 효율이 향상되었다.)
- 동금 나노에서 TSMC의 수율이 우수하다고 한다.
- 규모의 경제
- 막대한 이익을 다시 재투자하여 삼성전자에게 불리하다
- EUV 장비 독점 : 21년 기준 TSMC 60대 , 삼성전자 28대
- 초미세공정을 누가 더 많이 할 수 있는가
- IP보유랑이 많아 좋은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TSMC 20% 수준이다.
- TSMC분석
- PER 14배, ROE 40%, 영업이익률 49%
- 1987년부터 파운드리 회사로 시작하여 현재 시장 점유율 50%이다.
- 23년 경기침체 우려로 투자비를 감소하였습니다.
- 주 고객사 : 애플, 퀼컴, 엔비디아, AMD, 테슬라 등
결론적으로 반도체 파운더리는 설계 기업으로 부터 위탁을 받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TSMC가 현재 과독점하고 있는 상태로 다양한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고 반도체 파운더리 시장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클라우드 관련주 TOP3 정리 (0) | 2023.04.09 |
---|---|
미국 사이버 보안 관련주 정리|PANW, CSCO (2) | 2023.04.07 |
알버말(ALB)|리튬관련 미국관련주 (0) | 2023.03.11 |
탄소포집기술 |탄소포집 미국 관련주 (0) | 2023.02.28 |
아마존(AMZM) - 빅 테크의 미래는? (0)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