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반도체에 투자법에 관련된 4가지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D램 사이클
- 마이크론 : 상승할 때 가장 많이 오르고 하락할 때 가장 많이 하락한다.
- 하이닉스 : 두번째로 상승할 때 많이 상승하고 하락할 때 많이 하락한다.
- 삼성전자 : 상승할때 조금 오르고 하락할 때도 조금 하락한다.
- 메모리 반도체 회사중에서도 가장 리스크가 덜한 편에 속하고 마이크론이 가장 극단적인 수익률을 보여준다.
- 3년 반~4년 반마다 고점(키친사이클) - 최근고점 2021년 1월 ▶ 3.5년 후 2024년 7월이 될 수 있다.
- 고점을 정확히 알수 없어 상승할 때마다 분할로 매도를 해야 한다.
- PBR을 기준으로 주가 사이클을 분석한다. : 06년, 10년, 14년, 17년, 21년(약 3년 반 주기 사이클)
- 다음 고점 예상 : 최근고점 2021년 1월 ▶ 24년 7월
D램 가격
고정가격 : 장기물량으로 가격변동이 느림
현물가격 : 가격변동이 즉각적으로 변한다
현물가격 - 고정가격 = (+)로 전환활경우 반도체 수요가 살아나기 시작했다는 신호
2. 기술사이클
- EUV의 새로운 기술 사이클의 도래로 2021년부터 시작되었다.
- 10년후 더 비용이 저렴하고 고성능 반도체가 나올 수 있다.
3. 반도체 수요처 출하량
- 서버 츨하량 : 데이터센터 투자계획 참조 ▶ 서버 D램 탑재량 매년 증가 (빅테크들을 참고한다)
- PC 출하량 : 경기와 연관 ▶ PC당 D랩 탑재량 매년 증가
- 스마트폰 출하량 ▶ 경기와 연관 스마트폰 당 모바일 D랩 탑재량 증가
4. GDP사이클
- 반도체는 세계 GDP보다 변동성이 크고 선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메모리 반도체 성장률이 반도체보다 변동성이 더 크다.
- 경기불황 끝에서 메모리 반도체에 투자하는 전략이 가장 수익률이 높다.
- 반도체 성장률보다 메모리 반도체 성장률이 훨씬 더 높다.
결론적으로 메모리 반도체의 투자법은 불황의 끝에서 사서 호황의 중간쯤에 매도를 하는 게 가장 좋다.
[산업 정보] - 반도체 장비 및 파운드리와 반도체 생산 과정
'주식 비법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 해자의 종류 - 경제적 해자 (0) | 2023.04.11 |
---|---|
미국주식 기업보고서 확인하는 법 (0) | 2023.04.05 |
섬유, 신소재 투자법과 섬유 관련주 (0) | 2023.03.30 |
경제정보 사이트 활용방법 |인베스팅 닷컴 |시킹알파 |WALL MINE (0) | 2023.03.15 |
은행주 투자하기 - 경제 호황과 경제 악화시 금융주 투자 (0) | 2023.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