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원자력 현황과 전망
현재 전 세계에는 32개국에서 핵발전소가 운영되며, 이는 누적 18,000년 이상의 운전 경험을 쌓아왔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전 세계 전력의 약 10%가 원자력으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지난 20년간 핵발전소가 전체 전력 생산량의 약 20%를 공급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뉴욕시 근처의 인디언 포인트 핵발전소가 2021년까지 폐쇄되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는 2050년까지 핵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전체 전력 생산의 12% 정도가 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는 지난해 예측치보다 1% 포인트 상승한 수치입니다. 또한, 국제 에너지 기구(IEA)는 2022년도 기준으로 전 세계적인 "2050년까지 순제로 배출"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전 세계의 원자력 발전량이 2050년까지 현재 수준에서 대체로 유지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러시아 전쟁 ▶ 에너지 다변화 + 저비용 ▶ 원자력 수요
한국의 원자력 현황
한국은 세계에서 원자력 발전을 가장 많이 하고 있는 나라 중 하나입니다. 2021년 기준으로 한국의 원자력 발전 비중은 전체 에너지 공급량의 27%입니다. 한국은 현재 23개 원자로를 운영하며, 총 20.5 기가와트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체 발전 용량의 22%에 해당합니다. 한국은 원자력발전소 건설과 기술 수출을 많이 하고 있으며, 현재 25개의 원자로가 전국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 중 일부 원자로는 오랫동안 가동됐기 때문에 폐쇄 및 대체 계획이 필요해졌고, 이를 위한 대체 에너지 설루션에 대한 연구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 정부는 2022년 7월에 발표한 에너지 전환 계획에서 2030년까지 원자력 발전 비중을 30% 이상으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밝혔습니다. 이러한 원자력 발전 증가 계획은 전력 안정성과 에너지 안보를 보장하고 대기업인 한화, 포스코 등 원자력 업체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가압 경수로
가벼운 물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원자로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압력용수로(pressurized water reactor, PWR)입니다. PWR은 2개의 독립된 냉각회로를 갖추고 있으며, 각 회로는 가압기, 증기생산기, 원자로 및 계통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냉각재는 중성자를 증폭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PWR은 다른 가벼운 물 원자로에 비해 운전이 용이하며, 가열이 증가함에 따라 생산되는 전력이 덜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노력이 적게 듭니다. 또한, 원자로 코어 내에 있는 fissile 물질이 적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습니다. PWR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가벼운 물 원자로 중 하나로, 가압 물과 중성자의 증폭 특성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합니다.
가압 중수로
압력 중성자탄화수소원자로 냉각재와 조절물질을 사용하는 압력 중성자탄화수소원자로 반응을 유발하는 원자로(물질 핵공학, PWR)에 비해 무게가 무거운 중성자탄화수소(Deuterium Oxide, D2O)로 냉각재와 조절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원자로를 PHWR이라 합니다. PHWR은 자연 우라늄과 같은 연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통은 매우 저농도 우라늄을 사용합니다. 또한 PHWR은 중성자가 적게 흡수되는 중성자탄화수소(D2O)를 조절물질로 사용하므로, 더 많은 핵분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HWR은 보일러 내부의 물이 비등하지 않도록 냉각재를 높은 압력으로 유지하므로 냉각재가 비등하지 않으므로, 고온 및 고압에서 더 많은 열을 생산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원전관련주
두산에너빌리티
두산에너빌리티는 원자력 발전소의 운영 기술 서비스와 장비 제조 경험을 기반으로 최고의 기술 서비스와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원자력 발전소 분야에서 경험이 많은 기업으로, NuScale Power와 함께 작은 모듈 원자로 발전기(SMR)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UAMPS Carbon Free Power 프로젝트에서 NuScale Power의 77MW SMR 모듈 6기를 배치할 예정이며, 2029년 상업 운영을 시작할 것입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원자력 발전소 분야에서 경험이 많은 기업으로, 기술적인 서비스와 원자력 발전소 운영에 필요한 장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작은 모듈 원자로 발전기(SMR)를 생산하는 NuScale Power와 함께 UAMPS Carbon Free Power 프로젝트에서 협력하여 총 462MW의 전력을 생산할 예정입니다.
한전기술
한전은 원자력 기술 개발을 선도하는 기업 중 하나다. 그 회사는 우라늄과 혼합 산화물 연료를 사용하는 PWR, BWR, APWR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원자로를 개발했다. 한전은 또한 원자력 에너지와 관련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몇 가지 안전 조치를 채택했다. 그 회사의 원자력 발전소는 높은 용량 요소와 증가하는 세계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한전은 앞으로 수십 년 동안 신뢰할 수 있는 전력 공급원을 제공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원자력 발전소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수주를 하더라도 얼마나 자체 기술을 가지고 있는지가 중요하다.
- 원전은 기술보다 외교 관계가 상당히 중요하다. (중동, 유럽, 러시아, 미국, 중국)
- 원전 수주및 정책 변화 발생 시 주가움직임이 클 수 있다.
- 원전 수주에서 완공까지는 10년이 걸리므로 수주가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친다.
[경제, 주식 공부] - 태양광에너지 현황 및 전망 |미국 태양광 관련주 |한국 태양광 관련주
'산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속도로 투자법 이란? |한류로 인한 화장품 성장 (2) | 2023.03.25 |
---|---|
건설사 원전사업 소형 원자로 SMR & MMR 현황 |중동의 수소 (0) | 2023.03.21 |
유가 전망에 따른 원유의 미래 (0) | 2023.03.16 |
친 환경 소재 바이오 플라스틱이 중요한 이유 (0) | 2023.03.14 |
화학물질 분석 및 기업|화학계통도 (0) | 2023.03.12 |